목록전체 글 (222)
쥐수의 공부노트

정답 : 1) components를 이용 2) split을 이용 Swift는 입출력을 readLine()으로 받고, 형식은 Optional String으로 받는다. 따라서 !를 이용하여 옵셔널을 해제한다. Swift는 문자열 구분을 split과 components를 이용하여 구분이 가능하다. split과 components의 차이점 - split은 Foundation을 import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지만, components는 Foundation을 import해야만 사용 가능 - split은 결과물의 형태를 Array으로 반환하고, components는 Array으로 반환 - split은 문자열을 입력값으로 받을 경우 오류 발생, components는 입력값으로 문자열을 받아도 쪼개기 가능 spli..

1. 오토레이아웃이란? - 아이폰이 다양한 사이즈와 화면 비율로 출시 되면서,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시각적으로 동일한 화면을 구현해야하는데 이를 위한 가장 편리하고 권장되는 방법이 바로 오토레이아웃이다. 오토레이아웃은 뷰의 제약 사항을 바탕으로 뷰 체계 내의 모든 뷰의 크기와 위치를 동적으로 계산한다. 오토레이아웃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외부 변경과 내부 변경에 동적으로 반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한다. 오토레이아웃이 요구되는 외부 변경과 내부 변경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. 1-1. 외부 변경(External Changes) 외부 변경은 슈퍼뷰의 크기나 모양이 변경될 때 발생한다. 각각의 변화와 함께, 사용 가능한 공간을 가장 잘 사용할 수 있도록 뷰 체계의 레이아웃을 업데이트해..